방산안보연구 | Journal of Defense Industrial Security (J Def Ind Secur; JDIS)

OPEN ACCESS, PEER REVIEWED

pISSN 0000-0000
eISSN 0000-0000

논문작성지침

I. 논문형식

1. 논문의 틀

1) 원고는 제목, 저자, 국문요약(주제어 포함), 목차(장만 표기) 본문, 참고문헌, 영문제목, 영문요약(키워드 포함)의 순으로 구성한다.

2) 원고 작성은 한글프로그램(1997버전 이후)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논문의 편집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1) 원고의 작성은 A4 용지를 사용하며, 폭: 208mm, 길이: 277mm, 용지방향: 좁게, 제책: 한쪽(1) 으로 한다.

(2) 여백의 크기는 위: 33.5mm, 아래: 35.0mm, 왼쪽: 37.0mm, 오른쪽: 37.0mm, 머리말: 11.0mm, 꼬리말: 0.0mm, 제본: 0.0mm 로 한다.

3) 국문 원고의 분량은 A4 용지 20매로 하며, 영문 원고는 국문 원고에 준한다. 20매를 원칙으로 하되, 21매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 게재료를 납부하여야 하며, 30매를 초과할 수는 없다.
4) 원고의 편집과 관련된 구체적 사항은 아래 논문의 요소별 편집에 따른다.

2. 논문의 요소별 편집

1) 논문의 제목

(1) 글자체는 진한 함초롬돋움체(15.0pt)로 지면 가운데 작성한다.

(2) 논문제목의 부제를 달 경우에는 앞의 글자에 콜론을 붙여서 쓰되, 뒷 글자와는 한 칸을 띄우고 사용한다.

2) 저자명과 소속과 직함

(1) 저자명은 제목 아래 함초롬돋움체(11.0pt)로 기술하며 지면의 오른쪽에 위치시킨다. 저자가 복수인 경우 이름 사이에 ‘⋅’ 표시를 하여 구분한다.

(2) 저자명 뒤에는 ‘*’ 표시를 하여 동일한 지면 하단에 저자의 소속과 직함의 각주 형태(함초롬돋움체, 9.0pt)로 제시한다. 저자가 복수인 경우 저자의 순서대로 ‘*’ 표시(두 번째 저자명 뒤 ‘**’ 표시, 세 번째 저자명 뒤 ‘***’ 표시)를 한다.

(3) 저자가 복수인 경우 연구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한 제1저자를 가장 먼저 제시하며 그 역할의 중요도에 따라 차례대로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제1저자, 교신저자, 공동저자의 순).

3) 요약 및 주제어

(1) 저자명에서 한 줄 간격을 두고 ‘요약’이라는 제목을 가운데 함초롬돋움체(13.0pt)로 작성하여 삼각괄호( < > ) 안에 위치시킨다.

(2) 요약의 내용은 논문의 내용을 압축하여 함초롬돋움체(10.0pt)로 150단어(600자) 안팎의 길이로 작성한다.

(3) 요약의 첫머리에는 들여쓰기를 한다.

(4) 주제어는 함초롬돋움체(10.0pt)로 요약내용과 한 줄 간격을 띄워 작성한다.

(5) 국⋅영문 요약 주제어(Keywords)는 각각 5개 이상 작성한다.

4) 목차

(1) 목차는 <요약> 아래 위치시키며, 도표를 작성하여 기술한다.

(2) ‘목차’라는 제목을 가운데 함초롬돋움체(11.0pt)로 작성하다.

(3) 목차의 내용은 로마 목차만을 함초롬돋움체(10.0pt)로 기술하며 들여쓰기를 한다.

5) 본문

(1) 목차의 계층을 나타내는 기호체계는 Ⅰ. (함초롬돋움체, 14.0pt), 1. (함초롬돋움체, 13.0pt), 1) (함초롬돋움체, 12.0pt), (1) (함초롬돋움체, 11.0pt), ① (함초롬돋움체, 10.5pt), 가) (함초롬돋움체, 10.0pt)의 순서를 따른다.

(2) 본문의 내용은 함초롬바탕체(10.0pt)로 작성하며 초록의 주요어로부터 페이지를 넘겨 기술하고 들여쓰기를 한다.

6) 참고문헌 제시할 때는 ‘참고문헌’이라는 제목을 문단 가운데 함초롬돋움체(14.0pt)로 제시하고 참고문헌 내용을 기술한다.

7) 영문 제목

(1) 영문제목의 첫글자와 고유명사의 첫글자, 약어는 대문자로 작성하고, 그 외는 모두 소문자로 작성한다.

(2) 부제목이 있는 경우에는 :(콜론) 이후에 부제목을 추가한다. 부제목은 고유명사의 첫글자, 약어는 대문자로 작성하고, 그 외는 모두 소문자로 작성한다.

8) 영문 요약과 주제어

(1) 참고문헌을 제시한 뒤에는 영문으로 ‘ABSTRACT’이라는 제목을 문단 가운데 함초롬돋움체(14.0pt)로 제시하고 영문 제목(함초롬돋움체, 13pt, 진하게), 저자명(함초롬돋움체, 10.0pt), 영문 요약 내용(함초롬돋움체, 10.0pt), 주제어(함초롬돋움체, 10.0pt)의 순으로 기술한다.

(2) 작성 요령은 국문 초록의 작성 요령과 같다.

9) 원고의 본문주, 참고문헌 등은 아래의 지침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10) 논문의 요소별 편집과 관련된 자세한 양식은 홈페이지에 게재된 ‘방산안보연구 논문 양식’을 참고한다.

II. 본문에서의 참고 및 인용

1. 일반 문헌의 경우

1) 단독 저자의 연구가 하나만 인용되었을 경우

– 국내 문헌의 경우 성명과 출판연도를 본문 내에 기입한다.

예) 홍길동(2010)은 방산안보란…

– 외국 이름의 경우 동양 저자의 경우에는 우리말식 음독을 쓰고 괄호 안에 원어를 표기하고, 서양 저자는 영어로 성만 표기하고 동양 저자의 이름이라도 영문으로 표기된 연구를 인용했을 때는 저자의 성만 표기한다.

예) 모리야마 타다시(守山 正, 2000)는…

Moriyama(1990)는…

(1) 인용문헌을 괄호 안에 표기하기

– 저자의 이름이 본문 중에 나오지 않을 경우 문장 끝에 성명과 출판연도를 제시한다.

예) …라고 주장하였다(홍길동, 2005).

…이기 때문이다(Button, 2003).

(2) 문헌의 부분 인용

– 저자명을 본문 중에 언급하지 않고 저자의 특정 자료 중 일부를 인용할 때 인용한 특정 자료와 출판 연도를 구분하기 위해 출판연도 뒤에 자료를 제시한다.

예) …을 밝혀냈다(홍길동, 이순신, 2000: 표 1 참조).

…을 밝혀냈다(Adams, Smith, & Harrison, 1999: 표 1 참조).

 

(3) 본문 중에 저자명과 출판연도가 모두 쓰였을 경우

예) 1970년 Baker는…

(4) 한 단락에서 같은 연구가 반복된 인용된 경우 혼동을 일으키지 않는 한 같은 참고 문헌의 출판년도는 반복해서 표기할 필요가 없다.

예) Siegel(2000)은 …라고 주장했다. 또한 Siegel은 …라고 하였다.

2) 여러 저자들이 수행한 연구를 인용하였을 경우

(1) 저자 두 명이 함께 수행한 연구

– 두 저자명을 ‘와(과)’로 연결하여 두 저자명을 모두 제시

– 본문 중에 저자명이 언급되지 않고 문장 끝 괄호 안으로 처리했을 때 한국문헌과 동양문헌의 저자명은 쉼표로 구분하고, 서양문헌의 경우 ‘&’를 사용한다.

예) 홍길동과 이순신(1999)은… Stevens와 Berg(1992)는… …라고 주장하였다(홍길동, 이순신, 1999; Stevens & Berg, 1992).

(2) 셋 이상 여섯 명 미만의 저자가 수행한 연구

– 처음 인용할 때는 모든 연구자의 성명을 표시하되, 각 이름은 쉼표로 구분하고 서양문헌의 경우에는 마지막에 열거되는 저자명 앞에 ‘&’를 삽입한다.

– 두 번째 인용부터는 첫 번째 저자명만 적고 공동 저자명은 생략하고 “등” 혹은 “외”로 표시한다.

예) [첫 인용] …을 분석한 연구에서는(홍길동, 이순신, 을지문덕, 1995) … Stevens, Green, Taylor와 Eisenberg(1995) 등은…

예) [같은 연구일 경우, 두 번째 인용] 홍길동 등(1995)의 연구 결과 … Stevens 등(1995)은 …

(3) 여섯 명 이상의 공동 저자의 문헌을 인용

– 처음 인용 때부터 첫 저자명만 쓰고 첫 저자명 다음에 “등” 혹은 “외”라고 표기한다.

– 다만 6인 이상의 연구에 첫 번째 저자명이 동일한 다른 문헌이 인용되어 서로 다른 문헌임을 구분해야 할 경우 두 문헌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만큼까지 뒤에 따르는 저자명을 표기한 다음 “등” 혹은 “외”라고 표기한다.

예) 홍길동, 이순신 등(2000)의 주장처럼…

예) 최근의 연구(홍길동 외, 2000)에서…

예) Katz 등(2001)의 연구에 의하면…

예) 최근의 연구(Katz et al., 2000)에 의하면…

3) 동명 저자에 의한 복수 연구물의 경우

– 동명 저자(들)의 서로 다른 연구가 본문에 포함될 경우 저자명 뒤 표기된 출판연도로 별개 연구임을 구별한다.

– 서양 문헌의 경우 혼동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저자의 성 앞에 머리글자를 기입할 수 있다.

예) 홍길동(1998)과 홍길동 외(2000)의 연구에서…

예) 홍길동 등(2000)과 홍길동 등(2002)의 연구에서…

예) F. H. Carter(2001)와 G. W. Carter(2002)의 연구에서…

예) F. W. Carter(2001)와 G. W. Carter(2002)의 연구에서…

4) 저자가 기관 또는 단체인 경우

– 기관명을 저자명으로 취급하고 완전한 기관명을 밝힌다.

– 기관이나 단체명을 축약어로 표기해도 누구나 알 수 있을 때에는 두 번째 인용부터 축약어로 표기해도 된다.

예) [본문에서 인용할 때] 최근 연구(한국방산연구원, 2000)에 의하면… 외국의 연구(American Society for Defense Industrial Policy, 2001)에 의하면…

예) [두 번째 인용부터 축약어를 사용할 때] 한방연의(2000)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외국 연구(ASDIS, 2001)에 의하면…

5) 저자가 없거나 익명인 경우

– 연구자가 없는 연구를 인용할 경우 저자명 대신 연구를 지칭할 수 있는 두세 단어(보통은 제목의 시작부분)를 저자명으로 취급한다.

예) “한국 방산안보의 태동”(익명, 2002)에서…

“Defense Industrial Security”(anonymous, 2002)에서는…

예) …라고 해석하였다[“한국 방산보안의 태동”(익명), 2002].

…라는 주장[“Defense Industrial Security”(anonymous), 2002]에서는…

– 판례나 법령과 같은 법률 자료도 저자가 없는 인용과 마찬가지로 취급하여 법령의 이름이나, 판례의 표기방식에 따라 표기하고 연도를 기록한다.

예) ‘방산안보에 관한 법률’(법률 제 8062호, 2012)에서…

6) 개인 서신

– 편지나 메모, 전화, 전자우편이나 전자매체를 통한 대화가 인용의 출처일 경우를 말한다.

– 개인적 서신은 재사용될 수 있는 자료가 아니기 때문에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시키지 아니하고, 전자매체(electronic media)로부터 얻은 정보와 같이 재생 가능한 정보의 출처는 참고문헌 목록에 제시한다.

예) (홍길동, 2009, 11, 2, 개인 서신)

(Taylor, 1995, 5, 17, personal communication)

2. 재인용, 번역서, 및 부분인용

1) 재인용

– 다른 연구의 인용 방법과 같으나, 본문에 인용할 때는 원전(저저명과 출판년도)과 재인용한 자료의 출처를 제시한다.

– 저자명이 본문에 제시될 경우 원전의 출판연도 뒤에 콜론을 한 후 재인용한 자료의 출처를 제시한다.

예) 홍길동(2002: 이순신, 2005에서 재인용)은…

…을 제시하였다(Green, 2001: 홍길동, 2007: 174에서 재인용).

…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Walker, 1966: Samuel, 1999에서 재인용).

2) 번역서

– 원전의 저자명을 적고 쉼표를 한 후 원전의 출판연도와 번역서의 출판연도를 빗금( / )으로 구분하여 나란히 제시한다.

예) 방산안보에 대하여 Coleman(1977/2000)은… …라고 하였다(Coleman, 1977/2000).

3) 문헌의 특정 부분을 직접 인용한 경우

– 다른 문헌의 특정 부분을 그대로 삽입할 때는 인용 출처의 쪽수 혹은 장(章)을 표시한다.

– 장(章)은 ‘장’(혹은 ‘chap.’)로 표기하고, 쪽수는 연도 다음 콜론( : ) 표시를 하고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 학술지 권수는 축약어 Vol.로 표기하고 권수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다만, 원전 제목 속에 로마 숫자로 사용된 경우 그대로 사용한다.

예) (홍길동, 2002: 3장) (이순신, 1999: 16) (방산안보연구 Vol. 2: 89-107) (Smith, 2000: chap. 3) (Baker & Rush, 1996: 234)

3. 한 괄호 안에 두 편 이상의 연구를 인용했을 경우의 표기 순서

1) 동일 저자의 연구

– 출판연도 순으로 오래된 것부터 배열한다. 이 때 저자명은 한번만 기입하고 출판연도만 기입하면 된다.

– 출판연도까지 동일한 경우 제목의 가나다라 순서로(영문의 경우 알파벳 순서) 출판연도 뒤에 소문자 a, b, c를 붙여 구분한다.

예) 선행 연구들(홍길동, 1998, 2002)에서…

선행 연구들(Wilson & Powell, 1998, 2001)에서…

최근 연구(홍길동, 2008a, 2008b)에서는…

2) 동일인이 아닌 경우

– 저자명의 가나다라 순(영문은 알파벳 순)으로 쓰고 연구와 연구 사이에 세미콜론을 찍어 구분한다.

– 다른 연구에도 포함되어 있으나 한 연구에서 주로 인용을 하였으며 이러한 사실을 나타내고자 할 때 맨 앞에 주된 문헌을 인용하고 “또한”이란 용어로 부수적인 문헌을 가나다(영문은 알파벳) 순으로 배열한다.

예) 여러 연구(홍길동, 2008; 이순신, 2007)에서는… 여러 연구자(Green, 2000; Stevens, 1999; Taylor, 1987)들은… …라고 주장하였다(Smith, 1995; 또한 Harris, 2000; James, 1999)

3) 국내와 동서양 문헌이 모두 포함된 경우

– 국내문헌, 동양문헌(국가명의 알파벳 순), 서양문헌의 저자 순으로 나열한다.

III. 참고문헌

1. 참고 문헌 제시 순서

– 참고문헌의 제시 순서는 표기 언어를 기준으로 한국어 출판물을 먼저 제시하고 외국 출판물을 제시한다.

– 외국 출판물은 동양 문헌(알파벳 순) 다음 서양 문헌 순서로 제시한다.

2. 참고 문헌 표기

– 참고문헌 목록에는 제일 먼저 저자명을 적고 한 칸 띄우고, 괄호 안에 출판연도를 쓴 후 마침표를 한다. 저서의 경우는 한 칸 띄운 다음 책이름(고딕체, 영문은 이탤릭체)을 적고 마침표를 하고서 출판 장소와 출판사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적는다.

– 학술지 논문의 경우 저자명과 출판연도, 연구제목, 학술지명, 게재권(호), 쪽수를 적는다. 학술지명과 게재권(호)는 중고딕체(영문은 이탤릭체)로 적는다.

– 참고문헌이 두 줄 이상이 되는 경우, 두 번째 줄부터는 네 칸 들여쓰기를 한다.

예) 홍길동 (2023). 방산안보이론. 서울: 박영사.

Kӓren, M. H., & Henry, M. W. (1996). Introduction to private security, New York : West Publishing.

홍길동 (2011). 방산안보의 개념적 정의에 관한 고찰. 방산안보연구, 16, 1-19.

Michael, D. R., & Jinhong, Z. (1999). The determinanats of job satisfaction among united states air force security police.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19(3), 5-18.

1) 저자명

(1) 일반적인 표기 순서

– 국내문헌은 완전한 성명으로 성과 이름을 띄어 쓰지 않는다(외자 이름도 동일). 외국문헌의 경우, 동양문헌은 원어 그대로 표기하며 서양문헌은 연구자의 성을 적고 쉼표를 한 다음 첫 글자만 대문자로 적고 생략 표시의 마침표를 찍는다.

– 국내문헌은 가나다 순서대로 제시하고, 같은 자음일 경우, 모음 순서를 비교하고 모음도 같은 경우 받침의 자음 순(국어사전 항목 순)으로 제시한다. 글자가 먼저 끝나는 경우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취급하여 글자가 계속되는 것보다 앞에 둔다.

– 영어문헌의 경우 첫 저자 성의 알파벳 순서대로 제시하고 저자명에 포함된 글자 하나하나의 알파벳 순서를 비교하여 순서를 매긴다.

(2) 맨 앞에 제시되는 저자명이 같은 경우

– 동일한 저자명의 연구는 단독 연구이건 공동 연구이건 출판연도 순으로 출판연도가 빠른 것을 앞에 배열한다.

– 맨 앞 저자의 단독 연구와 공동 연구가 모두 참고 문헌 목록에 포함될 경우, 단독 연구자 성명이 짧기 때문에 공동 연구보다 앞에 배열된다.

(3) 출판 연도까지 동일한 저자의 연구

– 제목의 가나다(영어의 알파벳) 순으로 배열한다. 단 A나 The와 같은 관사는 제외시키고 제목의 알파벳을 비교한다.

– 소문자 a, b, c 등을 표기하고 순서대로 제시한다.

예) 홍길동 (2009a), 방산기술… 홍길동 (2009b), 유출방지…

예) Green, G. R. (1985a). Origins…Green, G. R. (1985b). Risk…

(4) 단체나 기관명의 연구

– 연구 단체나 기관명의 가나다(영문은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되 기관이나 단체의 완전한 이름을 쓴다.

예) 한국방산안보학회 (2010, 편). 한국방위산업 50년사. 서울: 박영사.

(5) 익명의 연구나 저자가 없는 경우

– 본문에서 인용한 연구 제목의 두세 단어를 저자명과 같이 취급하여 그에 해당하는 가나다(영문은 알파벳) 순으로 제시하고 괄호 안에 익명(영문 Anonymous)이라고 표기한 후 쉼표를 찍고 출판연도를 적는다.

– 저자가 없는 경우도 연구의 제목을 저자명으로 취급하여 그에 해당하는 가나다(영문은 알파벳) 순으로 제시한다.

예) 방위산업의 태동은 (익명, 2007). 방산보안. 66-89, 서울: 박영사.

예) Private Security (Anonymous, 1980), Introduction to security, Boston: Butterworth.

2) 출판연도

– 저자명 바로 다음에 한 칸 띄우고 괄호를 쳐서 써넣고 괄호 뒤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1) 미출판 된 연구가 인쇄 중일 경우는 괄호 안에 “인쇄중”이라고 표기하고 해당 저자의 맨 마지막 연구로 취급한다.

(2) 현재 심사 중이어서 출판이 확실치 않는 경우 괄호 안에 “심사중”이라고 표기하고 심사 중인 정기 간행물명을 밝힌다.

예) 홍길동 (심사중). 방산기술 유출방지를 위한 탐색적 연구. 방산안보연구.

(3) 발표 자료 등으로 만들어졌으나 출판되지 않는 경우 괄호 안에 “미간행”이라고 표기하고, 학술대회 등의 발표 자료라면 학술발표 년, 월, 일을 기입하고 쉼표를 한 후 미간행임을 표기한다.

예) 홍길동 (2010, 3, 8, 미간행). 방산안보의 발전 방안. 21C 방산안보 발전 방안. 방산안보연구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서울: 프레스센터.

3) 원전의 서지 사항

– 동양과 국내의 학술지명이나 저서명은 중고딕체로, 서양 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영문 제목이나 부제는 시작 단어의 첫 알파벳만을 대문자로 쓴다.

– 참고자료가 책과 같은 통상적인 출처에서 나오지 않았을 경우 이러한 내용을 제목 옆에 대괄호([ ])를 하고 써 준다.

예) [CD-ROM], [On-Line] 등

(1) 정기 간행물

① 정기 간행물

– 정기 간행물은 간행물의 완전한 이름과 권수를 중고딕체로 쓰고 본문 인용 때의 표기 방식과 달리, 권수 앞에 “Vol.”이란 글씨를 쓰지 않고 아라비아 숫자로 권수를 적는다. 그리고 권수 번호에 바로 이어서 괄호 안에 호수를 적고 이어서 쪽수를 아라비아 숫자로 적는다.

② 대학의 논문집

– 대학의 논문집의 경우 기관지명이 유사하기 때문에 마지막에 발행기관을 명시한다.

예) 홍길동 (2005). 방위산업 클러스터에 관한 연구. 방산안보연구, 5(1), 56-87. 명지대학교 방산안보연구소.

③ 신문 기사의 인용

– 사설이나 일반 기자가 쓴 기사는 신문명을 저자명으로 취급하고, 발행일자의 연, 월, 일을 괄호로 묶어 쓰고, 기사의 제목과 게재면을 표시한다.

예) 중앙일보 (2007, 12, 17). CES 출품작 극비보안. 5면.

– 독자 혹은 특정인의 기고라면, 이 기고자의 이름을 저자로 취급하여, 일반학술지에 실린 문헌과 같은 방식으로 기재한다. 익명의 기고일 경우는 기사의 제목 두세 단어로 기사 작성자명을 대신한다.

예) 홍길동 (2009, 3, 1). 방산안보의 중요성. 안보뉴스, 5면.

④ 잡지 같은 정기 간행물

예) 홍길동 (2000, 겨울). 방위산업의 발전방향, 방산연구, 55-98.

(2) 저서를 포함한 비정기 간행물

① 책, 보고서, 학위논문, 안내서(brochures), 요강(要綱), 시청각 매체 등을 포함해서 정기 간행물이 아닌 자료

예) 홍길동, 이순신 외 1명(2013). 방산안보개론. 서울: 박영사.

② 논문 하나가 단행본으로 묶여진 긴 논문(monographs)의 경우

예) 저자명. (연도). 논문 제목. 논문집명, 권(호), 전 권이 아닌 경우 쪽수(연속 간행물인 경우는 일련번호).

③ 학위 논문

예) 홍길동 (2010). 방산안보 활동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유용성 분석.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④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개최되는 학술 발표회 발표 논문

예) 홍길동 (2010). 방산보안의 발전 방안. 한국방산안보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초록집, 123-126, 7월 22-23일. 용인: 명지대학교 창조예술관. 방산침해 대웅방안. 한국방산안보학회 하계심포지움 “방산보안의 역할”, 12-32, 7월 22-23일. 서울: 한국대학교 중앙세미나실.

⑤ 미간행 발표 자료

예) 홍길동 (2009). 한국방산안보학회 편집위원회 결산 보고. 한국방산안보학회 연차 총회, 11월 11일. 용인: 명지대학교 대강당.

(3) 편집서나 저서에 포함된 단일 논문의 인용

– 인용한 장(章의) 저자명 다음에 출판 연도를 괄호 안에 적고 마침표를 찍고 장의 제목을 적는다. 그리고 전체 책을 엮은 편집자의 성명을 적고 한 칸 띄고 편집일 경우 ‘편’ 저서일 경우 ‘저’(영어는 편집자명 앞에 “In”을 넣어 시작하고 괄호 안에 ED./편집자가 복수일 경우 Eds.)라고 표시한 후 저서명(중고딕체)을 적고 괄호 안에 해당 쪽수를 적어 넣는다.

예) 한국방산안보학회 (2011). 방산안보의 미래. 홍길동 (편). 방산안보학 (pp. 5-15). 서울: 박영사.

⑥ 역서와 편역서의 경우

예) 원저자명 (번역서 출판년도). 번역서명(중고딕체, 영문은 이탤릭체) (역자명 역/편역). 출판지: 출판사. (원전의 출판년도).

예) Durkheim, E. (2008). 에밀 뒤르켕의 인생론 (홍길동 역). 서울: 한국출판사. (원전은 1897에 출판).

⑦ 초록 문헌의 경우

예) 홍길동 (2010). 방산안보의 발전 방안. 한국방산안보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초록집, 123-126, 7월 22-23일. 용인: 명지대학교 창조예술관.

– 간행물 명을 통해 초록집이라는 것을 알 수 없을 경우에는 맨 마지막에 요약자료집임(요약, 초록, 혹은 Abstracts)을 대괄호( [ ] )로 묶어 표기한다.

⑧ 재인용한 자료들의 제시

– 본문에서와 달리 참고 문헌 목록에는 재인용 문헌만을 제시한다.

⑨ 논문, 책, 영화, 비디오, TV프로그램 등의 논평 문헌 표기

예) 논평자 성명 (출판연도). 제목 [자료가 기술하고 있는 원자료의 형태와 제목]. 자료가 실린 서명, 권(호), 페이지.

※ 논평 문헌이 아니라 매체를 직접 인용한 경우

예) 감독 및 제작자의 이름 (역할) (년도). 제목. [원자료 형태] 방영지역(비디오 경우 출시회사 주소지): 방송사명(비디오 경우 제작사명).

예) 홍길동, 이순신 (감독) (2010). 대물. [TV 연속극] 서울: SBS TV.

(4) 전자 매체 등 인터넷 간행물의 표기

– 인용한 내용의 출처가 마이크로필름이나 시디롬, 온라인 등의 매체일 경우 그 출처 형태와 출처 정보를 대괄호([ ])에 표시한다.

예) 홍길동 (2006). 방산보안관리사 발전방안에 대한 고찰 [On-line] http://www.riss4u .net 학술논문/일반검색/키워드: 경비.U.S. Department of State, “The Global Initiative to Combat Nuclear Terrorism,” http://www.state.gov/t/isn/c18406.htm, 검색일 2011. 1. 13.한국명지일보 (2009, 6, 22). 알카에다, 파키스탄 핵무기로 미국 공격 경고,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6/22/2009062201125.html, 검색일 2011. 1. 13.

(5) 출판 장소와 출판사

– 저서의 경우 출판 사항에 출판 도시명과 출판사명을 적는다.

– 출판지가 잘 알려진 도시가 아니거나 다른 곳과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 도시명 다음에 쉼표를 하고 국가명(미국은 주(州)명을 공식화된 약자로)을 적는다.

– 출판사명은 알아볼 수 있을 만큼만 간단하게 적고 associations, corporations, university press 등은 적되 Publishers, Co., Inc., 등의 불필요한 용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면 뺀다. 그러나 Books와 Press와 같은 고유 명사는 그대로 쓴다.

– 원전의 출판 도시가 하나 이상일 경우 맨 앞에 나와 있는 출판지나 출판사의 본사가 있는 출판 도시를 적는다.

IV. 서평

1. 서평은 기획서평과 일반서평으로 구분하여 전자는 편집위원회가 기획하고 후자는 저자 의뢰 혹은 평자 기고로 이루어진다. 저자 의뢰의 경우 서평을 위한 저서의 제출이 이루어진 후 편집위원회에서 평자를 추천받아 서평을 의뢰한다.

2. 기획서평은 연구서에 대한 비평적 소개를 넘어 연구주제, 참고문헌, 각주 등 논문의 특징을 온전히 갖춘다. 분량은 200자 원고지 80매 이상으로, 심사(可否만 판정)는 2인의 편집위원이 한다.

3. 일반서평은 연구서의 내용 요약, 기여 평가 등 비평적 소개로 참고문헌, 각주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분량은 1권당 200자 원고지 20매 이내로, 심사(可否만 판정)는 2인의 편집위원이 한다.

4. 서평은 서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도, 페이지, 가격, ISBN을 포함한다.

V. 기타

1. 외래용어 및 외국어

– 외래용어의 경우 첫 번에 한하여 한글 역어를 적고 괄호 안에 원어명을 부기한다. 통용되는 역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하고 통일된 역어가 존재하지 않는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 기준에 따라 현지의 발음대로 표기한다.

– 외국 인명과 논문 제목은 원어명은 그대로 표기한다.

2. 표와 그림

– 표와 그림의 제목은 각각 논문 전편을 통해서 일련번호를 부여하며(예: 표 1, 그림 1), 표 제목(함초롬돋움체, 10pt)은 표 위쪽 가운데에 위치시키고 그림 제목(함초롬돋움체, 10pt)은 그림 아래쪽 가운데에 위치시킨다.

– 표의 설명주는 “주 : 1), 2), 3)”으로 시작하고[※주: ( )는 점유율], 자료 출처는 아래 부분에 밝힌다(※ 자료: Duncan, 1981: 349의 재구성).

– 표에 대한 통계적 유의도는 *p<.05, **p<.01, ***p<.001과 같이 표기한다.

– 표 작성에서 줄긋기는 가로줄만을 사용하며 세로 테두리선을 쓰지 않는다. 가장 바깥 가로 선은 굵은 선을 쓰고 안쪽 가로선은 가는 선을 사용한다.

– 그림에서는 x축과 y축과 곡선⋅면적 등으로 표현된 각 부분의 명칭을 반드시 붙여 주어야 한다.

– 원고 작성의 편의상 표와 그림은 본문에 그 위치만 표시하고 별지에 작성하여 제출할 수도 있다.

3. 저자의 논문이나 저술을 가리킬 때에는 ‘졸고’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반드시 이름을 밝혀 적는다.

4. “방산안보연구” 논문집필요령은 미국심리학회 출판 지침서(APA) 및 한국심리학회 학술논문 작성 및 출판 지침을 참고로 작성되었으며, 본 논문집필요령에 없는 내용은 미국심리학회 출판 지침서(APA)에 따른다.